SCIENCE IN KOREAN LITERARY TRADITION

  1. Course Description
    본 과목은 한국의 문화 전통 속에 내재되어 있는 과학/의학적 요소와 인식론을 탐색하면서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기술/문화를 결합하는 융합적 사고 훈련을 목표로 한다. 이 과목에서는 먼저 한국 문화와 문학 전통 내에 자리하고 있는 사회적-과학적 요소를 추출하고 이에 대한 의학/과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한편 의학 혹은 과학적 탐색과 지식이 전통과 근대 문화 구조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배치되고 재현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논의를 시작한다. 학생들은 여러 자료 (시, 소설, 의학서, 전문서, 백과사전류)를 다양하게 접하면서 한국의 전통 의학에서부터 근대 과학을 잇는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 지식의 관련성에 대해 공부하게 될 것이다. 인문학과 과학기술 양자의 융합을 돕고 학생들의 자율성과 창의적 사고능력을 유도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활동, 프로젝트 참여, 자발적 토의와 토론을 구성하여 16주간의 강의를 구성하게 된다.
  2. Course Objectives
    This course delves into the evolution and presence of scientific ideas throughout the Koryŏ and Chosŏn eras in Korea. It highlights that science, skills, and technology extend beyond laboratory-based knowledge, encompassing domains like farming, craftsmanship, weaving, and culinary practices. The course specifically explores how science intertwines with daily human experiences and also investigates the intersections between literature and science. It aims to elucidate how scientific concepts influence literature and, conversely, how literary imagination contributes to shaping scientific revolutions in reverse. Most course materials will be accessible via the CTL website, and discussions will be conducted in both English and Korean. (한국어 설명) 과학 기술은 21세기 사회에 가장 중요한 분야가 되었습니다. 과학의 영역은 실험실에 국한되지 않고 우리의 일상 가운데 농사를 짓고, 물건을 만들고, 길쌈을 하며,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 속에도 내재되어 있습니다. 본 강의에서는 고려-조선시대의 일상 문화를 "과학"이란 프레임으로 분석하며 인문학과 과학 간의 유기적 관계성을 상상하고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과정에서 인간의 문화는 과학에 의해 어떻게 변화되었으며, 또한 인간의 문학적 상상력은 과학 기술의 발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보면서, 문학을 보다 넓은 지평 위에서 해석하고 읽어낼 수 있는 힘을 키웁니다. 강의 시간 중에는 학생들이 직접 조사하고 토의하며 자료를 찾는 활동을 수반하기도 하며, 박물관과 역사관을 방문하여 현장 조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강의는 본 전공생들의 수업 이해를 돕기 위해 영어와 한국어를 병행하여 이루어집니다. 특히 과학 상식과 용어를 "영어"로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3. Teachnig Method
    * 수업진행 방식 안내* 교수자는 강의는 영어, 한국어 병행 강의를 진행하며, 학생들이 개별로 혹은 모둠별로 참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작은 과제가 자주 제시됨. * 학습 평가 방식 안내* - Attendance (출석) 10% : Students will be expected to participate fully in class discussions, to turn in assignments on time, and to be prepared to comment on each work that we read. Those whose absences add up to one third of the 15-week period will automatically fail the course. Attendance 점수는 학생의 출석일 뿐만 아니라 강의 참여도를 함께 반영하여 평가. - Final Essay (기말 보고서) 25%: Students are required to visit historical museum, or science museum and conduct a field research once per semester. After the field work, students write an essay about what kinds of scientific ideas/objects/information they have explored and discovered and submit their assignments to the course website by the due date. The final project should be three- to four-page long, including images, tables, or photos. 기말시험 대신 박물관에 대한 보고서/리뷰를 작성해서 제출. - Presentations (발표) 25% : Each team of 3-4 students explores a work of film (or fiction) that has the strong elements of science, history and/or fantasy. The presentation must clearly show the theme, form, contents of the selected work and offers the challenging notion of "science" reflected in the material. A 30-minute presentation with PowerPoint materials is highly recommended. 학생이 개별 혹은 팀별로 교수자가 제시하는 연구 주제에 대해 리써치를 실시하여 분석 결과를 발표함. - Pop Quiz 40%: Three quizzes will assess understanding of key terms, concepts, and expressions taught during class sessions. 학기 중 실시되는 4번의 쪽지시험을 바탕으로 산출.
  4. Textbook
  5. Assessment
  6. Requiments
  7.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course
  8.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