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AND INTERNATIONAL NURSING

  1. Course Description
    본 교과목은 인간의 건강 현상에 대한 태도와 관념을 사회적 맥락과 환경의 관계에서 추구해야하는 필요성에 따라 간호에 대한 문제성의 규정을 한국 사회와 한국의 문화적 맥락에서 파악하려는 목적을 두고 구체적으로 다음과 간은 내용을 다룬다. 먼저, 문화의 개념, 친족 및 사회조직, 경제체계, 종교 및 정치와 법을 건강현상에 대한 태도와 관념과 관련해서 함께 다룬다. 그리고 퍼스낼리티의 결정요인, 형성과정 및 사회적 퍼스낼리티에 대한 이해를 다루며, 문화차이에 따른 건강, 질병 및 죽음에 대한 이해, 질병의 진단 및 치료방식, 한방과 간호 그리고 치료자와 환자의 관계를 다루고, 또한 생활양식과 풍토병을 다룰 것이다.
  2. Course Objectives
    To forestall "Culture Shock" when immersing in another culture, and to appreciate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differences for the people we tend do.
  3. Teachnig Method
    Attend, Read, Participate, and Do well on Exams.
  4. Textbook
  5. Assessment
    For Frivolous Grade Appeals, professor reserves the right to Lower Appealing Student's grade. Proceed wisely.
  6. Requiments
    None
  7.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course
    To forestall "Culture Shock" when immersing in another culture, and to appreciate the significance of cultural differences for the people we tend do.
  8. Reference